‘서울시 병원 안심동행서비스’가
이용자들의 높은 호응 속에 시행 2년 만에 누적 이용 건수 약 3만 건을 기록했다.
월평균 1,100건이 넘는 수치다.
‘서울시 병원 안심동행서비스’는 병원으로 출발할 때부터 귀가할 때까지 모든 과정에 동행매니저가 동행하는 ‘도어 투 도어(Door to Door) 서비스’로, 병원 이용 중 접수, 수납, 약국 동행 등을 지원한다.
지난해부터 가정 내에서 도움받기 어려운 시민들을 위해 이용대상을
‘도움이 필요한 모든 서울시민’으로 확대했다.
올해도 계속되는 ‘서울시 병원 안심동행서비스’ 신청하려면?
‘서울시 병원 안심동행서비스’는 병원 갈 때 도움이 필요한 시민 누구나
시간당 5,000원의 요금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중위소득 100% 이하인 서울시민은 연 48회까지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신청은 서울시 1인가구 포털 누리집 또는 전화(1533-1179)로
서비스 희망일 일주일 전부터 할 수 있으며, 당일예약도 가능하다.
이용시간은 평일 07시~20시이며, 주말도 사전 예약 시 09시~18시에 이용할 수 있다.
단, 서울시 소재 병원에 한해 동행을 지원한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병원에 가기 위해 혼자 집을 나서는 것조차
힘든 분들을 위해 시작한 ‘서울시 병원 안심동행서비스’가 해를 거듭하며
이용자수가 증가하고 호응도 커지고 있다”며,
“올해도 동행매니저 직무교육 강화, 이용 편의성 개선 등을 통해
이 서비스가 꼭 필요한 시민들에게 도움을 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1인가구의 의료고충 해소를 위해 2021년 11월에 시작된
‘서울시 병원 안심동행서비스’는 지난해 말까지 누적 이용 건수는 2만 9,181건으로 집계됐다.
올해는 전년 대비 67.5% 증가한 1만 8,042건의 서비스를 제공했다.
이용유형으로는 진료 동행이 41.7%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투석, 재활 및 항암 치료, 검사 및 입퇴원 등 순이었다.
이 밖에 건강검진에도 병원동행매니저가 동행할 수 있어 수면내시경 등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 언제 신청할 수 있나요?
○ 사전 예약과 당일 신청 모두 가능합니다.
- 사전 예약은 이용 8일 전부터 신청이 가능합니다.
- 당일 신청 건의 경우 접수 후 3시간 이내 요청한 장소에 도착
(단, 상시대기인력이 모두 출동했을 경우 서비스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지원사업신청 | 서울 1인가구 포털 (seoul.go.kr)
씽글벙글 서울(서울 1인가구 포털)
1인가구 안심해요. 서울시가 함께해요!
1in.seoul.go.kr
□ 비용 부담이 있나요?
○ 시간당 5,000원이며, 30분 초과 시 2,500원 추가됩니다.
(요청한 장소에 동행매니저가 도착한 시간부터 요금이 산정됨)
※ 중위소득 100% 이하라면, 2024.1.1.부터 연간 48회 무료 이용 가능합니다.(49회부터 유료)
- 수급자 증명서, 차상위 증명서,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등
관련 서류는 반드시 이용 전에 제출하셔야 합니다.
※ 차량은 별도 제공되지 않고, 교통비는 이용자가 부담합니다.
□ 언제 이용할 수 있나요?
○ 평일은 오전 7시부터 오후 8시까지 이용할 수 있고,
주말은 사전 예약하신 분에 한하여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 맞춤형 '월 5만원대' 기후동행카드 출시 (4) | 2024.02.26 |
---|---|
링크포함)서울 여행에 든든한 지원군 통역, 환전, 불편 신고까지, '여행자지원센터'/여행자필수/여행계획/외국동전환전소 (1) | 2024.01.06 |
2차신청)링크포함)새해 선물 일상을 지키는 '지키미' 세트 신청하세요!/신청방법/조기마감/2기신청/ (1) | 2024.01.05 |
링크포함)올해도 입장료 1,000원...'서울 광장 스케이트장' /예매 방법/위치 지도/빠르게 가는 방법 (0) | 2023.12.22 |
강추위 자취방대비/수도계량기 동파예방법/서울시 '동파 경계' 발령 24시간 상황실/신고방법/수도사업소 연락처 (1) | 2023.12.18 |